수리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분야와 이들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분야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의 근간이 되는 소재 및 ICT 분야
과제 & 연구자
T 세포 탈진화는 PD1, LAG3. TIM3, TGIT과 같은 억제 수용체의 발현 증가와 TNF, IFNɣ, Granzyme B 와 같은 세포 독성 (cytotoxicity) 단백질의 발현 감소로 판단됩니다. T 세포 탈진화는 만성 바이러스 감염 상황과 암 조직 내에서 일어나 질환을 악화시키나, 자가면역질환에서는 오히려 증상의 완화에 기여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T 세포의 탈진화를 조절하는 것은 다양한 면역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핵심적인 사안이라 생각되어지고 있습니다. 면역관문 억제제 (anti-PD1, anti-PD-L1, anti-CTLA4) 처리를 통해 T 세포 탈진을 극복하고자 하고 있으나, 일부 환자와 암 종에서만 제한적으로 작동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고, CAR-T 세포의 경우 고형암에서 쉽게 탈진이 유도되어 치료 효능의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존의 탈진 CD8 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