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 연구자 | 삼성미래기술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푸터영역 바로가기

과제 & 연구자

과제 & 연구자

큰 꿈을 향한 무한탐구의 연구열정,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이 응원하며 함께 하겠습니다.

6.조창순.jpg

조창순 교수

소속기관 POSTECH(포스텍) 신소재공학과

선정연도 2023년

연구실 홈페이지

플라스몬 트랜스퍼를 이용한 고해상도 고색순도 나노박막 광발광 디스플레이

메타버스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기술들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져가고 있습니다. 특히 양자점, 페로브스카이트 등 색상 표현력이 뛰어난 차세대 발광체들은 기존의 디스플레이들이 표현하지 못하던 다양한 색상의 이미지들을 보다 생생하게 표현할 수 있어 많은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양자점의 대표적 상용화 성공사례로 꼽히는 삼성 QLED TV는 기저광원의 청색광을 양자점이 흡수하고 녹색과 적색으로 변환하는 광발광 (photoluminescence) 방식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광발광 디스플레이는 양자점의 뛰어난 색상표현력을 전기적 제약 없이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청색광원의 빛을 충분히 흡수하기 위해서는 수 내지 십수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두꺼운 양자점층을 도포해야한다는 광학적 한계가 존재합니다. 이는 수백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픽셀을 쓰는 TV나 모니터 등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안경형 디스플레이와 같은 미래의 초소형 (< 10 μm) 고해상도 발광 픽셀에 두꺼운 광발광층을 이용하는 경우 미세공정에 많은 제약이 생길 뿐 아니라 발광 효율의 저하, 픽셀 간의 광학적 간섭 등 다양한 문제들을 수반합니다.

 

우리의 연구는 청색광원의 빛을 색변환 광발광층으로 전달함에 있어서 기존의 광 흡수 방식 대신 나노스케일의 근거리에서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플라스몬 트랜스퍼 기술의 도입을 제안합니다. 비발광 모드에서 나타나는 플라스몬 트랜스퍼의 근거리 흡수 특성을 활용하면 나노미터 두께의 얇은 색변환층만 가지고도 청색광원의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하고 필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광발광 디스플레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기존 기술이 가지고 있던 공정상의 어려움과 광학적인 한계들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즉, 고색순도 구현에 있어 전기적 제약이 없는 광발광 디스플레이의 장점과 나노박막층에 기반하여 해상도가 뛰어난 전계발광 양자점 LED의 장점을 합쳐 놓은 기술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노미터 두께의 광발광 LED라는 새로운 형태의 디스플레이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우리는 플라스몬 트랜스퍼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광학 설계 기술들과, 새로운 플랫폼에 최적화된 고색순도 색변환층 소재의 연구를 수행할 것입니다. 또한 플라스몬 트랜스퍼 현상에 대한 광물리적 이해와 더불어 나노스케일 광발광 디스플레이의 광학적 특성 및 장단점을 분석해 갈 것입니다. 이러한 연구의 수행을 통해 우리는 가시범위에 있는 풀컬러 색상들을 초소형 디스플레이에서 고해상도로 구현하고, 현실과 구분할 수 없는 수준의 생생한 메타버스 세계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메타버스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기술들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져가고 있습니다. 특히 양자점, 페로브스카이트 등 색상 표현력이 뛰어난 차세대 발광체들은 기존의 디스플레이들이 표현하지 못하던 다양한 색상의 이미지들을 보다 생생하게 표현할 수 있어 많은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양자점의 대표적 상용화 성공사례로 꼽히는 삼성 QLED TV는 기저광원의 청색광을 양자점이 흡수하고 녹색과 적색으로 변환하는 광발광 (photoluminescence) 방식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광발광 디스플레이는 양자점의 뛰어난 색상표현력을 전기적 제약 없이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청색광원의 빛을 충분히 흡수하기 위해서는 수 내지 십수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두꺼운 양자점층을 도포해야한다는 광학적 한계가 존재합니다. 이는 수백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픽셀을 쓰는 TV나 모니터

더보기
관련 뉴스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