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푸터영역 바로가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과제응모
Science

수리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분야와 이들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분야

Technology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의 근간이 되는 소재 및 ICT 분야

과제 & 연구자

과제 & 연구자

큰 꿈을 향한 무한탐구의 연구열정,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이 응원하며 함께 하겠습니다.

충남대_송승완.jpg

송승완 교수

소속기관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선정연도 2022년

연구실 홈페이지

안전하고 성능도 좋은 리튬금속 반고체전지를 위한 LPPS 전해질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밀도 증가를 위해 고용량의 리튬금속 음극 적용이 필요하나, 리튬금속은 기존 액체 전해질과 함께 적용 시 덴드라이트가 형성될 수 있어서 화재 위험이 높고 수명 확보도 어렵습니다. 리튬금속전지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개발이 활발하나, 성능과의 트레이드-오프가 있고 여전히 덴드라이트 문제가 남아 있습니다. 고체전해질의 안전성 장점은 활용하고, 문제점은 이온전도도가 우수하고 전극 표면보호막을 제공함으로써 덴드라이트가 없는 전지를 만들 수 있는 상온에서 액체상태인 신규 액체전해질로 보완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불연성인 새로운 클래스의 액체전해질과 계면저항 저하형이며 불연성인 고체 전해질을 혼합 적용한 새로운 개념의 LPPS 반고체 전해질 원천기술 최초 개발과 함께 작동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합니다. 반고체 전해질 최적화를 통해 상압에서 작동하는, 안전하고 성능도 좋은 리튬금속 반고체전지를 구현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 리튬금속전지 사용에 걸림돌이었던 발화 문제와 제한된 수명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발화 문제와 계면 저항 문제가 있는 다양한 차세대전지에도 확장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에너지밀도 증가를 위해 고용량의 리튬금속 음극 적용이 필요하나, 리튬금속은 기존 액체 전해질과 함께 적용 시 덴드라이트가 형성될 수 있어서 화재 위험이 높고 수명 확보도 어렵습니다. 리튬금속전지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개발이 활발하나, 성능과의 트레이드-오프가 있고 여전히 덴드라이트 문제가 남아 있습니다. 고체전해질의 안전성 장점은 활용하고, 문제점은 이온전도도가 우수하고 전극 표면보호막을 제공함으로써 덴드라이트가 없는 전지를 만들 수 있는 상온에서 액체상태인 신규 액체전해질로 보완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불연성인 새로운 클래스의 액체전해질과 계면저항 저하형이며 불연성인 고체 전해질을 혼합 적용한 새로운 개념의 LPPS 반고체 전해질 원천기술 최초 개발과 함께 작동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합니다. 반고체 전해질 최적화를 통해

더보기
관련 뉴스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