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푸터영역 바로가기
과제응모
Science

수리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분야와 이들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분야

Technology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의 근간이 되는 소재 및 ICT 분야

과제 & 연구자

과제 & 연구자

4.KJW.jpg

김진우 교수

소속기관 KAIST(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선정연도 2024년

연구실 홈페이지

불용성 전사인자 핵 응집체의 세포 기능 파괴 제어

진핵세포의 세포핵은 소포체막으로 둘러싸여진 폐쇄 공간으로, 세포질에서 생성된 전사인자 단백질들은 핵공(nuclear pore)을 통해 세포핵 안으로 들어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합니다. 이러한 단백질 이동의 특성 때문에 전사인자 단백질들은 세포핵 내에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과포화상태에 이르게 되므로, 세포는 기능을 완료한 전사인자 단백질들을 핵 내에서 분해하거나 핵공이나 핵막 소낭을 통해 세포질로 방출함으로써 핵 내의 단백질 농도가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합니다 (별첨 그림1의 1, 2, 3 경로). 전사인자 단백질들의 핵 내 제거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핵 내에 과다 축적된 전사인자 단백질들이 타겟 유전자 발현을 지속적으로 유도해 암이나 분화 이상 등의 세포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전사인자 단백질들이 타겟 DNA에서 이탈해 비특이적 응집체를 형성해

더보기
관련 뉴스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