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공지 사항
2025년 하반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선정 과제가 확정되었습니다.
센터는 지정테마, 재단은 자유공모로 진행된 이번 공모 결과, 총 24개의 과제가 새롭게 선정되었습니다.
- 인과 기반 파운데이션 모델을 위한 통계적 학습 이론 (김광호 교수(고려대학교))
- 비국소 지연방정식 기반 플로어 호몰로지와 달 gateway에 대한 연구 (김성찬 교수(공주대학교))
- T 세포 탈진의 가역성 회복을 위한 면역 조절 전략 (이윤태 교수(POSTECH))
- 입체보존적 SN1 반응 (이홍근 교수(서울대학교))
- 재생형 라디칼 촉매: 전형원소 기반 입체선택적 유기변환 (조은진 교수(중앙대학교))
- 뒷맛의 신경생물학적 기전 (최명환 교수(서울대학교))
- 위상 초전도 구현: 결함 최소화 접합을 통한 새로운 접근 (최영준 교수(POSTECH))
- 붕화비소 기반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용 고방열 소재 개발 (강준상 교수(KAIST))
- 초고대역폭 AI 가속기를 위한 V-die 집적 패키징 기술 개발 (권지민 교수(UNIST))
- 고효율 고성능 인간형 로봇 손 조작 기술 개발 (김의겸 교수(아주대학교))
- 탄소중립 대응형 CO2-HF 기반 HFE 냉매 합성 (김찬연 교수(DGIST))
- 코스모스: 복합 시공간 나노모티프 기반 집합적 패턴 진화 바이오센싱 (남좌민 교수(서울대학교))
- 지능형 최적 설문시점 탐지 기반 심리 행동 수집 플랫폼 개발 (노영태 교수(한양대학교))
- 보이지 않는 힘: 고령자의 움직임과 존엄을 되찾는 인공근육 치환 플랫폼 (박용래 교수(서울대학교))
- 스핀기반 설계규칙을 통한 철기반 제로스트레인 리튬 층상 산화물 개발 (박정진 박사(KIST))
- 확률론적 역설계 AI 모델 수립 기반 초고밀도 6G MIMO 안테나-DPD 통합시스템 구현 및 성능 검증
(오정석 교수(서울대학교)) - 항염증성 식세포작용 기반 항암치료제 개발 (이광록 교수(KAIST))
- 암 세포 특이적 당항원 인식 단백질 설계를 위한 AI 플랫폼 개발 (이규리 교수(KAIST))
- 초몰입 확장현실을 위한 초고속, 고정밀 피부통합형 제스처 인식 인터페이스 개발 (이병문 교수(DGIST))
- 녹내장 관리를 위한 초음파 스펀지 콘택트 렌즈 기술 (이현주 교수(KAIST))
- 목표 지향 최적 전해질 설계를 위한 계층형 AI (정유성 교수(서울대학교))
- 공정 호환형 일함수 조절 가능한 vdW 준금속 전극 기반 2차원 FET 소자 기술 (정창욱 교수(UNIST))
- 초거대 AI 모델을 위한 초광대역 메모리 IC 기술 (조성환 교수(KAIST))
- Knowedge Graph 및 EdgeAI 기반 고령 1인 가구 노쇠 예측 시스템 개발 (조주희 교수(성균관대))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홈페이지가 새롭게 개편되었습니다.
메인 키비주얼에는 ‘끊임없는 무한 열정’을 상징하는 선정패 디자인을 반영했습니다.
새로 신설된 연구자 소식 메뉴에서는 연구자들의 활동 소식과 제작 영상을 소개하며, 삼성전자 뉴스룸을 통해 공개된 사업 관련 영상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지사항 게시판에서는 지원 과제의 대외 홍보 가이드, 논문 및 특허 사사 표기 안내와 더불어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VI(Visual Identity) 활용 가이드, 슬로건·레터마크 안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레터마크·슬로건과 함께 4종의 PPT 템플릿을 다운로드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홈페이지(https://samsungstf.org/)를 통해 사업 관련 최신 소식과 지원 과제·연구자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전해드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