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푸터영역 바로가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과제응모
Science

수리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분야와 이들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분야

Technology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의 근간이 되는 소재 및 ICT 분야

과제 & 연구자

과제 & 연구자

큰 꿈을 향한 무한탐구의 연구열정,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이 응원하며 함께 하겠습니다.

1_KwakKiHyuk.jpg

곽기혁 교수

소속기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미생물학교실

선정연도 2025년

연구실 홈페이지

B 림프구 활성화와 관용성 조절의 숨겨진 코드

우리 몸의 면역체계에서 B 림프구는 병원체에 대한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자가반응성을 가진 클론이 높은 비율로 존재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이러한 자가반응성 B 림프구를 유지하는 이유는, 자가항원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병원체 항원에 폭넓게 대응하여 면역의 범위를 최대한 확장하기 위한 진화적 전략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B 림프구가 자기 자신에 대한 공격을 피하면서도 병원체에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관용성과 활성화를 조절하는 분자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 면역학에서 핵심 연구과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T 림프구와 비교할 때 B 림프구의 관용성과 활성화 조절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입니다.

 

특히 병원체 유래 항원은 주로 항원 제시 세포를 통해 막 결합 형태로 B 림프구에 제시되며, 이를 인지한 B 림프구는 면역시냅스를 형성하여 활성화됩니다. 본 연구는 B 림프구의 면역시냅스 형성 과정에서 Piezo1이 매개하는 기계적 신호전달(mechanotransduction)이 B 림프구의 관용성을 극복하고 활성화를 유도하는 핵심 분자기전임을 규명하고자 합니다. 더불어 아프리카 계통 인류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되는 Piezo1 기능획득 변이체(gain of function variant)가 병원체 감염이 빈번한 환경에서 면역력을 높여 진화적으로 선택되었는지, 그리고 위생 환경이 개선된 상황에서는 이 변이체에 의한 과민화 된 B 림프구가 자가면역질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쳤을지에 대한 가능성도 함께 연구할 예정입니다.

 

본 연구를 통해 Piezo1 매개 기계적 신호전달을 중심으로 하는 B 림프구의 활성화 및 관용성 조절 메커니즘을 명확히 규명함으로써, 면역체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분자 타겟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차세대 백신 면역증강제 개발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 전략과 같은 다양한 의학적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에서 B 림프구는 병원체에 대한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자가반응성을 가진 클론이 높은 비율로 존재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이러한 자가반응성 B 림프구를 유지하는 이유는, 자가항원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병원체 항원에 폭넓게 대응하여 면역의 범위를 최대한 확장하기 위한 진화적 전략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B 림프구가 자기 자신에 대한 공격을 피하면서도 병원체에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관용성과 활성화를 조절하는 분자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 면역학에서 핵심 연구과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T 림프구와 비교할 때 B 림프구의 관용성과 활성화 조절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입니다.   특히 병원체 유래 항원은 주로 항원 제시 세포를 통해 막 결합 형태로 B 림프구에 제시되며, 이를 인지한 B 림프

더보기
관련 뉴스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