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실이 커질수록 발광 성능이 좋아지는 독특한 레이저 구현 | KAIST는 물리학과 조용훈 교수 연구팀이 머리카락 굵기보다 100배 얇은 정육각형 모양의 반도체 막대 구조 안에서 상호작용이 높은 양자 입자를 생성해, 손실이 커질수록 발광 성능이 좋아지는 신개념의 시공간 대칭성 레이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공간 대칭성 레이저는 향후 고효율의 레이저 소자부터 양자 광소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물리 시스템에서든 손실은 가능한 제거 하거나 극복해야 하는 대상으로 존재해왔다. 따라서, 이득이 필요한 레이저 시스템에서 손실이 있는 경우에는 작동에 필요한 최소 에너지가 그만큼 증가하게 되므로 손실은 가능한 줄여야 하는 대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