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 연구자 | 삼성미래기술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영역 바로가기 푸터영역 바로가기

과제 & 연구자

과제 & 연구자

큰 꿈을 향한 무한탐구의 연구열정,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이 응원하며 함께 하겠습니다.

20-1_이승용_KIST.jpg

이승용

소속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선정연도 2020년

연구실 홈페이지

전기화학적 zero polarization 구현을 위한 적층 나노어레이형 소자 개발

배터리 연료전지, 태양전지, 센서 등의 전기화학소자는 전기 에너지와 화학반응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물질과 전하 이동을 제어하는 소자로써 최근 들어 청정 에너지 생산 과 전기 에너지의 저장, 대기 정화 등의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많은 관심 을 받고 있습니다. 다양한 전기화학소자 에서 가장 주요한 효율 저하 원인은 전극반응의 분극 현상(polarization)이고, 구체적으로 ohm/activation/concentration polarization 으로 세분됩니다.

 

본 연구에서는 세가지 전기화학적 분극 현상이 모두 나타나는 가장 도전적인 전기화학소자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solid oxide fuel cell) 대상으로 zero polarization에 가깝게 분극을 감소시킬 수 있는 혁신적 기술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세라믹 멤브레인에서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SOFC 는 고온 작동에서 기인하는 생산성, 신뢰성 등 의 기술적 문제를 가지고 있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SOFC 의 작동온도를 낮추기 위해 연구 신소재 개발, 셀 구조 개량, 제조 공정 개선 등에 집중하고 있지만 기존 고온용 소재와 공정 기술 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해 저온 운전에서 나타나는 심각한 전극 분극 현상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400°C 미만의 운전 온도는 열적 활성화 기구에 지배를 받는 전해질 멤브레인의 옴 분극과 전해질 전극 촉매 활성 감소에 의한 전극 분극에 의해 합리적인 수준의 작동성능 구현이 불가능합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전극 분극이 지배적인 성능 손실 요인입니다.  또한 기존 전극 미세구조 및 삼상계면은(triple phase boundary, TPB) 고전적인 관투 및 유효매질이론 기반의 제한적인 3 차원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고 있어 저온 SOFC 에 적용될 경우에 원하는 수준의 성능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며, 혁신적 돌파구를 위해서는 TPB 극대화 가 가능한 다차원 구조 설계 및 공정 기술 연구가 절실히 요구됩니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스케일 멀티스탬핑법을 이용하여 나노 구조를 완벽히 제어함으로써 artificial TPB를 구현하고, 고성능 전극, 전해질 재료의 박막화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세계 최고 성능의 350°C 극저온 SOFC를 구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이동 기기용 전력원, 가정 상업용 분산 발전기 등에서 에너지 혁신을 이끌고자 합니다.

배터리 연료전지, 태양전지, 센서 등의 전기화학소자는 전기 에너지와 화학반응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물질과 전하 이동을 제어하는 소자로써 최근 들어 청정 에너지 생산 과 전기 에너지의 저장, 대기 정화 등의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많은 관심 을 받고 있습니다. 다양한 전기화학소자 에서 가장 주요한 효율 저하 원인은 전극반응의 분극 현상(polarization)이고, 구체적으로 ohm/activation/concentration polarization 으로 세분됩니다.   본 연구에서는 세가지 전기화학적 분극 현상이 모두 나타나는 가장 도전적인 전기화학소자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를(solid oxide fuel cell) 대상으로 zero polarization에 가깝게 분극을 감소시킬 수 있는 혁신적 기술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세라믹 멤브레인에서 수

더보기
관련 뉴스 게시물이 없습니다.